역사

검붉게 물든 다이아몬드의 역사.

부르넬로 2023. 6. 21. 18:58
반응형

브릴리언트 컷으로 연마된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

 안녕하세요. 이번 글을 통해서 다이아몬드의 역사와 산업 구조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다소 추상적이고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지적해주시면 감사히 새기겠습니다. 저는 역사를 공부할수록 순간적인 감정에 큰 의미를 두지 않게 되었는데요. 성공이나 실패가 지속되는 경우는 드물고 손톱에 낀 가시가 누군가의 죽음보다 고통스럽게 느껴지지만 달려오는 지하철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을 위해서 몸을 던지는 '사람'이라는 존재를 이해하는 과정인 것 같습니다. 물질 중 가장 단단한 다이아몬드에 담긴 의미는 이렇게 제겐 센치한 기분을 만들어내더군요.

 

1. 유대인으로부터 발전한 다이아몬드 산업

 다이아몬드 산업은 1492년 스페인이 유대인을 추방하면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유대인 추방령은 기독교와 유대교의 근본적인 차이에서 비롯되었는데요.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유대교는 예수를 메시아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예수를 메시아로 인정한 유럽 대륙에서 억압받고 소외되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경제에 있어서 유대인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선발주자였습니다. 그래서 이 억압과 소외에 질투와 시기가 녹아들었다고 생각하는데요.

 

 스페인이 유대인을 추방한 명분은 '종교'였지만 목적은 유대인에게 진 빚을 없애고 유대인이 가진 재산을 빼앗기 위해서였죠. 유대인이 이토록 앞설 수 있는 이유는 그들의 교육을 보면 알 수 있는데요. 어렸을 때부터 《성경》과 《탈무드》를 읽고 암송하고 하나님 앞에서 모두가 평등하다는 믿음 아래 무엇이든 함께 토론하는 문화가 그 정수입니다.

 

 돈은 물론 금과 은을 가지고 나갈 수 없다는 조치 때문에 유대인은 보석만 가지고 북쪽의 앤트워프로 향했습니다. 그리고 앤트워프에서 가지고 온 보석을 기반으로 가공 및 수출산업을 일으키지요. 당시만 해도 다이아몬드는 인도에서만 채굴할 수 있었고 왕과 귀족 같은 상류층만 소유할 수 있는 값비싼 물건이었습니다.

 

 비극은 300년이 흐른 아프리카에서 벌어졌습니다.

 

2. 다이아몬드의 대중화

 1866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오렌지 강에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었습니다. 더하여 거대한 다이아몬드 광산이 발견되면서 이 이권을 두고 영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이 전쟁을 '보어전쟁'이라고 부르는데요. 여기서 '보어'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이민 온 네덜란드 사람들을 지칭합니다. 이들은 아프리카에 정착하기 위해서 아프리카 원주민들을 학살했습니다. 그리고 다이아몬드가 발견되자 영국군이 보어인들을 학살했습니다. 최초로 만들어진 강제수용소에서 2만 7,927명의 어린이와 여성이 영양실조로 죽었습니다. 이 전쟁으로부터 제국주의 이론이 탄생했죠.

 

 1888년 설립된 드비어스 회사의 영국인 세실 로즈를 시작으로 오펜하이머 일가가 다이아몬드 광산을 독점했습니다. 이들은 독점이기 때문에 수급을 조절하면서 가격을 결정할 수 있었습니다. 1929년 대공황 때 전 세계에 있는 다이어몬드를 사들이며 독점 체제를 더욱 견고히 했죠. 이 구조는 무려 100여 년간 지속되었습니다. 러시아의 다이아몬드 광산을 필두로 새롭게 출현한 경쟁사에 의해 독점에 금이 가자 오펜하이머 일가는 2012년 드비어스 경영에서 물러났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