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솔론'의 개혁과 희년

부르넬로 2023. 6. 25. 22:08
반응형

머릿말

 안녕하세요. 이번 글을 통해서 그리스 7현인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솔론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다소 추상적이고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지적해주시면 감사히 새기겠습니다. 소크라테스가 태어나기 이전인 기원전 6세기로 빈부격차가 심해서 귀족은 귀족끼리 이권을 다투느라 바쁘고 시민은 먹고 마실 빵과 물이 부족했습니다. 빚을 갚지 못해서 노예로 전락하는 경우가 속출했고요. 혼란에 빠진 아테네에서 솔론은 귀족과 시민의 지지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혁명에 가까운 개혁으로 돌파구를 만들었습니다. 연인인 페이시스트라토스가 함께였습니다.

 

  1. 솔론의 개혁
  2. 유대교의 희년
  3. 한계

 

오늘날의 간접 민주주의.

 

1. 솔론의 개혁

 솔론은 모든 빚을 없애고 빚으로 노예가 된 시민들을 해방시켰습니다. 그리고 금권정치를 시행함으로써 계급이나 신분이 아닌 경제적 수준에 따라 정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모든 시민은 민회에 참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한 사람이 소유할 수 있는 토지의 양을 정해서 부의 쏠림을 막았습니다. 하지만 토지 전체를 분배하길 원했던 시민들은 불만을 품었습니다. 엄청난 개혁으로 귀족 역시 불만을 품었고요. 하지만 지지를 통해 선출된 솔론을 따르기로 했습니다. 솔론의 연인이었던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솔론의 개혁 이후 솔론이 논란을 피해 해외로 떠났을 때 쿠데타를 일으켰습니다. 시민 입장에서 조금 더 과격한 개혁을 원했기 때문이었습니다. 무력을 동원해 기존의 귀족들을 완전히 축출했습니다.

 

2. 유대교의 희년

 솔론은 유대교의 희년을 본받았습니다. 유대교는 하나님 아래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다고 믿습니다. 이 사상에 기초해서 50년마다 땅과 집이 원주인에게로 돌아가고 노예가 해방되며 채무를 면제한다는 규정을 희년이라고 합니다. 

 

 너의 동족이 가난하게 되어 너에게 몸이 팔리거든 너는 그를 종 부리듯 해서는 안 된다. 너는 그를 품꾼이나 임시 거주자처럼 너의 곁에서 살도록 해야 한다. 너는 희년이 될 때까지만 그에게 일을 시키다가 희년이 되면 그가 자식들과 함께 너를 떠나 자기 가족이 있는 조상에게서 받은 유산의 땅으로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 《레위기》 25장 39절~41절.

 

3. 한계

 에게 해와 지중해의 상공업이 활발해지자 부유해진 시민들이 생겼습니다. 아테네의 금권정치는 이에 맞물려 시민들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소크라테스 같은 인물이 만들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입니다. 하지만 아테네 민주주의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아테네의 시민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모두 아테네 시민이어야 했습니다. 또한 18세 이상의 남자만 해당되었습니다. 아테네 인구 중 90%가 노예였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솔론의 개혁은 생각해볼 만한 선례가 아닐까요?

반응형